컴퓨터 구조 13

메모리 계층 구조

🧮 메모리 계층 구조란?메모리를 필요 상황에 따라 여러 가지 종류로 나누어 둠을 의미한다.CPU가 메모리에 더 빨리 접근하기 위한 목적에서 만들어졌으며, 여러 저장 장치를 각각의 역할이나 특징을 기반으로 최적의 효율을 낼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위 이미지에선 위로 올라갈수록 특징이 변한다.기억 장치 속도 증가비트당 기억 장치의 비용 증가기억 장치 용량 감소📚 메모리 특징레지스터가장 빠른 속도를 가지며, CPU 내부에 위치함.소량의 데이터만 저장할 수 있다.캐시CPU와 메모리 사이의 중간 단계로, 자주 사용되는 데이터를 저장.L1, L2, L3 캐시가 있으며, L1이 가장 빠르고 작다.주 메모리(RAM)대용량의 데이터와 명령어를 저장하지만, 속도가 느림.캐시와 레지스터에 비해 접근 시간이 길어 CPU가 ..

컴퓨터 구조 2024.07.16

CPU 구조

🤔 CPU란?CPU(중앙 처리 장치)는 PC에서 특정 입력(키보드, 마우스 등)이 들어오면 출력(모니터, 스피커)까지의 과정을 처리해 준다. 🚌 CPU의 4대 부속CU(Control Unit) : 들어온 명령어들을 해석하고 제어해 준다.정보들의 전송 통로 및 방향 지정, 동작 시간을 컨트롤해준다.명령어에 따라 메모리나 캐시에서 레지스터에 저장한다.주로 메모리와 ALU 사이 데이터를 오고 가게 하는 명령을 내린다.레지스터(Register) : 메모리 중 가장 빠른 메모리(고속 메모리).CPU 내부에 있으며, 저장 공간은 크지 않고, 데이터 처리 및 연산에 사용된다.CPU는 레지스터의 데이터를 참고해 작업한다.ALU(Arithmetic Losic Unit) : 들어온 입력에 대한 산술, 논리 연산 처리를..

컴퓨터 구조 2024.07.15

비트 계산식 (2의 보수법)

🤔 signed와 unsigned 이란?signed 와 unsigned를 쉽게 말하자면 음수부터 2^8승 크기의 숫자를 나타낼 것 인지, 아니면 0부터 2^8승 크기의 숫자를 나타낼 것 인지의 차이이다.언어마다 uint로 줄여 표현하기도 하며, 양수만 저장할 수 있는 uint는 일반 int에 비해 플러스 범위의 정수에 대해 2배 큰 범위까지 저장할 수 있다.이는 양의 정수 범위만 필요한 나이, 물건의 수, 레벨 등에 많이 쓰인다.자료형 저장할 수 있는 값의 범위 크기UInt80 ~ 2558bitUInt160 ~ 65,53516bitUInt320 ~ 4,294,967,29532bitUInt640 ~ 18,446,744,073,709,551,61564bit🤔 비트의 음수, 양수 구별법signed에서는 음..

컴퓨터 구조 2024.06.10